부동산 중개수수료(복비) 계산 방법 정리

목차 부동산 중개수수료의 기본 원칙 주택 중개수수료 요율 계산 방법 오피스텔 중개수수료 요율 계산 방법 상가·토지 중개수수료 요율 계산 방법 중개수수료 협의와 기타 비용 부동산 중개수수료의 기본 원칙 부동산 중개수수료 는 부동산 거래를 중개한 공인중개사에게 지급하는 대가로, 흔히 '복비'라고 불립니다. 이 수수료는 법정 요율에 따라 정해져 있으며, 임대인(매도인)과 임차인(매수인)이 각각 부담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중개수수료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거래의 종류(매매, 전세, 월세), 거래 금액, 그리고 부동산의 종류(주택, 오피스텔, 상가 등)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법정 요율은 「공인중개사법」 및 각 시·도의 조례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므로, 거주 지역에 맞는 요율을 적용해야 합니다. 주택 중개수수료 요율 계산 방법 주택 중개수수료는 거래 금액 구간별로 상한 요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매매·교환: 거래금액 5천만 원 미만 : 요율 0.6% (한도 25만 원) 5천만 원 이상 2억 원 미만 : 요율 0.5% (한도 80만 원) 2억 원 이상 9억 원 미만 : 요율 0.4% 9억 원 이상 12억 원 미만 : 요율 0.5% 12억 원 이상 15억 원 미만 : 요율 0.6% 15억 원 이상 : 요율 0.7% 임대차(전세·월세): 거래금액 5천만 원 미만 : 요율 0.5% (한도 20만 원) 5천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 : 요율 0.4% (한도 30만 원) 1억 원 이상 6억 원 미만 : 요율 0.3% 6억 원 이상 12억 원 미만 : 요율 0.4% 12억 원 이상 15억 원 미만 : 요율 0.5% 15억 원 이상 : 요율 0.6% 월세 계약의 경우, 환산보증금(월세 × 100 + 보증금)을 기준으로 거래금액을 산정합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 1천만 원에 월세 50만 원인 경우, 환산보증금은 6천만 원이 되어 요율 0.4%를 적용받게 됩니다. 오피스텔 중개수수료 요율 계산 방법 오...